생물과학과 박연일 교수 ‘Journal of Advanced Research’ 논문 게재 | |||||
작성자 | 생물과학과 | ||||
---|---|---|---|---|---|
조회수 | 19 | 등록일 | 2023.11.08 | ||
이메일 | |||||
생물과학과 박연일 교수 ‘Journal of Advanced Research’ 논문 게재 생물과학과 박연일 교수 연구팀은 “Modulation of Warm Temperature-Sensitive Growth using a Phytochrome B Dark Reversion Variant, phyB[G515E], in Arabidopsis and Rice” 라는 제목으로 국제학술지 Journal of Advanced Research(JARE)에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번 연구성과는 국제 학술지 JARE (2022 journal Impact Factor 10.7)에 2023년 11월 2일에 게재 승인을 받았으며, 2023년 11월 4일에 온라인상에 사전 공개되었다 (https://doi.org/10.1016/j.jare.2023.11.001.). 박연일 교수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지구 온난화로 인한 식물의 웃자람 현상에 따른 생산성 저하 문제 해결에 대한 광유전학적 접근 방안의 하나로 식물 광수용체인 '파이토크롬 B(phyB)'와 ‘피토크롬 상호 작용 인자 4(PIF4)’로 구성된 ‘phyB–PIF4’ 모듈의 상호작용을 고온 반응성 성장 조절을 위한 잠재된 주요 유전적 표적으로 보고, 암전환율이 낮은 변이 파이토크롬 B(phyB[G515E]) 형질전환 식물체(애기장대, 벼) 를 제작하여 따뜻한 온도에서 열 형태 형성으로 인한 식물체의 웃자람 현상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변이 파이토크롬 B(phyB[G515E])가 기온 상승에 따른 작물의 온도 반응 생장을 엔지니어링하기 위한 강력한 도구임을 제안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 파이토크롬 B 변이체(phyB[G515E]) 의 식물체 도입은 지구 온난화에 민감하지 않은 식물을 개발하기 위한 효과적인 접근 방식이 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는 현재와 미래 세대의 식량 안보를 보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